반응형
node.js 는 이벤트 driven ( 주도 ) 및 non-blocking I/O 모델을 사용.
분산환경의 네트워크 프로그램이 가능하다.
이벤트 핸들러는 이벤트 루프를 무한 바복 수행 하면서 이벤트 감지 및 트리거(수행자 )
node.js 를 사용하는데 적합한 어플리케이션 ?
대량의 데이터를 조회할때, 빨리 응답을 받기 위할때
대량 트랜잭션 처리
- node.js 아키텍처 및 동작 원리
* 구조
v8 : 구글의 자바스크립트 엔진
libev : 이벤트 루프에서 사용하는 라이브러리
libeio : 쓰레드 풀 라이브러리
http-parser : http 분석을 위한 파서
evcom : 스트림 소켓 라이브러리로 libev 의 맨 위에 위치
udns : non-blocking DNS resolver
자바 8 버전 에 Node.js 와 비슷한 자바스크립트 엔진인 Nashorn 이 탑재되있다고 한다.
프로그래밍 언어 인기 차트
반응형